징사공파의 유래
HOME
금산오국화 선생
징사공파의 유래
중 시조(中 始祖) 1世 오방주(吳邦柱) 公은 고려(高麗) 때의 호장(戶長)(鄕職의 우두머리:地方에 勢力을 펴고 있던 城主나 호족(豪族)의 우두머리에게 호장(戶長)이란 향직(鄕職)을 준데서 비롯됨)이시다.
公의 2世는 종윤(宗尹), 3世는 극정(克正)이시며 고명(古名)은 자유(子由)이시다. 고려조(高麗朝)의 正5品 官 조의대부(朝議大夫)로 국자제주(國子祭酒)와 보문각 직학사(寶文閣直學士)를 지내셨다. 4世인 문온공(文溫公) 한경(漢卿)(1242-1314年)의 자(字)는 월수(月叟) 호(號)는 쾌암(快菴)이시다.
사림원학사(詞林院學士),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, 감춘추관사(監春秋館事), 지선부사(知選部事), 감수국사(監修國史)를 역임(歷任) 正2品 官(고려사高麗史 一百九列 전권제傳卷第二十二와 동인지문東人之文 五十七:보물寶物第1089號) 실존기록(實存記錄)을 바탕으로 한 중시조(中始祖) 1世와 증조손 관계(曾祖孫關係)의 확인(確認)으로 그맥(脈)을 잇게 되었고, 6世 준부 공(俊夫公)은 正3品 官 예부상서(禮部尙書)를 7世 徵士 公(입향조入鄕祖)까지의 추상년대推想年代(1340-1420년)를 가늠해 봄이다.
入鄕祖께서는 조이(朝以) 고려문하시랑(高麗門下侍郞)과 공양왕(恭讓王) 2년 경상도 안렴사(慶尙道按廉使)로 命을 받고 南下하던 중 고려조(高麗朝)가 亡하였다는 비보(悲報)를 들이시고 三日동안 통곡(痛哭)하시다가 관인(官印)을 땅에 묻고 관대(官帶)를 벗어버리고 문소(聞韶)義城 어봉산중(魚鳳山中)으로 들어 은거하시면서 세상(世上)을 마치셨다.
이태조(李太祖)께서 公의 높은 의절(義節)에 감복(感服)하여 관직(官職)을 내리시려고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이에 응하지 않으시고 그 소리를 들을 때마다 냇가에 가서 귀를 씻으니 후인(後人)들은 그 시내를 세이천(洗耳川)이라 불렀고 지금도 洗川과 世村으로 불리고 있다. 公의 곧은 절개(節槪)를 높이 한 士林(지방유림)에서 단(壇)을 쌓고 제사(祭祀)를 모시다가 1818년 서원(書院)을 창건(創建)하여 편액(扁額)을 숭절사(崇節祠)로 하였고 고려징사(高麗徵士) 금산(錦山) 吳 先生이라 하였다.
보계(譜系)가 실전(失傳)되어 공께서 역임한 벼슬, 치적(治積), 생몰년월일 등을 아울러 상고할 수 없었다. 공께서 의성 (義城)에서 은둔하고 생을 마쳤기 때문에 후손들은 義城 人이 되어 흩어져 거주하였으며, 우리는 入鄕祖로 숭배를 드리고 있다. 공께서는 자식이 셋 있었는데, 이름은 책(策), 순(淳), 진(進)이다. 책(策)에게는 자식이 없어 절손되었고, 순(淳)은 자식이 하나가 있으며 이름이 종신(宗信)이다. 진(進)은 두 아들을 두었는데, 찰(札)과 변(變)이다. 찰은 生員에 합격하였다. 찰(札)은 三男 영년,익년, 귀년(永年, 益年, 龜年)을 두었고 변(變)은 一男 영창(永昌)을 두었다.
11세 충예 공(忠禮公)부터 의성현(義城縣) 토후세력(土侯勢力)인 호장(戶長)으로 그 직이 자손에게 세습되어 조선이 망할 때까지 의성현(義城縣)19개면 육방관속을 지휘하고 의성 해주오씨 전체 씨족17문파를 자체 통제하는 8개門長 제도를 두고 시행하면서 500년간 자체통제해 왔다.
世系圖表
*中 始 祖 | 邦柱(방주) | 高麗戶長 | 1世 | ||
宗尹(종윤) | 寶文閣校勘 | 2世 | |||
克正(극정) | 國子監祭酒 從3品官 | 3世 | |||
漢卿(한경) | 贊成事門下府 正2品官(1242-1314년 ) | 4世 | |||
璲(수) | 珽(정) | 瓚(찬) | 左常侍 正3品官 | 5世 | |
中陸(중육) | 俊夫(준부) | 禮部尙書 正3品官 | 6世 |
※ 4세 漢卿公(한경공)의 年代 記錄根據에 의거 入鄕祖 7세 추상연대임을 참고(1340-1420년)
*入 鄕 祖 | 徵士公 諱 | 吳國華 | 高麗末 慶尙道 按廉使 | 7世 | |
進(진) | 8世 | ||||
찰(札) | 變(변) | 9世 | |||
永年(영년) | 益年(익년) | 龜年(귀년) | 永昌(영창) | 10世 | |
忠柱(충주) 忠石(충석) 忠彦(충언) |
世豪(세호) | 世鵬(세붕) 世鶴(세학) |
忠孝(충효) 忠義(충의) 忠信(충신) 忠禮(충례) 忠敬(충경) 忠智(충지) |
11世 |